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Home (100)
    • 👨🏻‍💻Infra (73)
      • 🌐Network (4)
      • 🐧Linux (27)
      • 🌎Cloud (9)
      • ⚫️Virtualization (2)
      • 🐳Docker & Kubernetes (1)
      • 🟦WEB & WAS (18)
      • 🟩IaC (0)
      • 🟨CI & CD (0)
      • ⚙️Application (6)
      • 💻Monitoring (2)
      • 📡HA (4)
    • 👨🏻‍💻Development (3)
      • 💻Frontend (2)
      • 💾Backend (0)
      • 🐍Bash (1)
    • 💾Data (16)
      • 🧩Database (13)
      • 📁Storage (3)
    • 🎓BBS (5)
    • 👨‍👧‍👧Git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제로보드
  • log4j 취약점
  • 웹방화벽
  • Tomcat HTTP 헤더
  • 다음 주소API
  • 레드마인
  • pacemaker
  • 톰캣 버전 노출
  • 취약점
  • 다음 카카오 주소API
  • CentOS7 PostgreSQL
  • GFS2
  • RHCS
  • Tomcat 취약점
  • pcs
  • 라이믹스
  • 톰캣 HTTP 헤더
  • CentOS6 PostgreSQL
  • 보안
  • 카카오 주소API
  • nginx
  • xe
  • Redmine
  • 톰캣
  • 방화벽
  • WAF
  • 레드마인 테마
  • Tomcat 버전 노출
  • CentOS8 PostgreSQL
  • tomcat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Infra/🟦WEB & WAS

PHP 메모리 부족 (PHP Fatal Error: Allowed memory size of)

2020. 3. 23. 16:14
반응형

서버 램이 넉넉잡아 16기가 정도 남았다고 해봅시다.

memory_limit이 128MB(기본값)이라면 섬네일 생성이 필요한 페이지를 동시에 100명이 요청해도 됩니다.
(128MB × 100 = 12.8GB)

memory_limit이 512MB이라면 섬네일 생성이 필요한 페이지를 동시에 50명만 요청해도 서버가 다운됩니다.
(512MB × 50 = 25.6GB)

즉 서버에서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동접수에 큰 차이가 생기고, 
악의를 가진 사용자가 일부러 대용량 이미지를 첨부한 후 동시에 다수의 섬네일 생성을 요청하여 
서버를 마비시킬 수 있는 취약점도 발생합니다.

PHP Fatal Error: Allowed memory size of 134217728 bytes exhausted (tried to allocate 37065440 bytes) in classes/db/DBMysql.class.php on line 356
위 에러는 메모리가 부족한경우이다
/etc/php.ini에 
memory_limit 파라미터를 수정해주면된다
위 파라미터 기본값은 128M이다



※메모리 무제한으로 풀기
ini_set('memory_limit','-1');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Infra > 🟦WEB &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버전 노출  (0) 2020.08.11
Apache LogFormat 정리  (0) 2020.04.23
[Apache] Apache server-status 로 모니터링 하기  (0) 2020.04.23
Tomcat 원격 코드 취약점 | CVE-2020-1938 Ghostcat  (0) 2020.04.09
Apache log에 favicon.ico 출력 제거  (0) 2020.03.04
    '👨🏻‍💻Infra/🟦WEB &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pache LogFormat 정리
    • [Apache] Apache server-status 로 모니터링 하기
    • Tomcat 원격 코드 취약점 | CVE-2020-1938 Ghostcat
    • Apache log에 favicon.ico 출력 제거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IT 기술 블로그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