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Home (100)
    • 👨🏻‍💻Infra (73)
      • 🌐Network (4)
      • 🐧Linux (27)
      • 🌎Cloud (9)
      • ⚫️Virtualization (2)
      • 🐳Docker & Kubernetes (1)
      • 🟦WEB & WAS (18)
      • 🟩IaC (0)
      • 🟨CI & CD (0)
      • ⚙️Application (6)
      • 💻Monitoring (2)
      • 📡HA (4)
    • 👨🏻‍💻Development (3)
      • 💻Frontend (2)
      • 💾Backend (0)
      • 🐍Bash (1)
    • 💾Data (16)
      • 🧩Database (13)
      • 📁Storage (3)
    • 🎓BBS (5)
    • 👨‍👧‍👧Git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카카오 주소API
  • GFS2
  • Tomcat HTTP 헤더
  • nginx
  • 취약점
  • Tomcat 취약점
  • 톰캣
  • xe
  • 제로보드
  • CentOS8 PostgreSQL
  • 웹방화벽
  • 다음 카카오 주소API
  • WAF
  • 레드마인
  • log4j 취약점
  • RHCS
  • pcs
  • Tomcat 버전 노출
  • 레드마인 테마
  • 방화벽
  • Redmine
  • pacemaker
  • 톰캣 버전 노출
  • CentOS6 PostgreSQL
  • CentOS7 PostgreSQL
  • 라이믹스
  • 보안
  • 톰캣 HTTP 헤더
  • 다음 주소API
  • tomcat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Infra/🟦WEB & WAS

Apache log에 favicon.ico 출력 제거

2020. 3. 4. 10:37
반응형

1. 개요

 

1) favicon의 정의

- favicon이란, favorite + icon 의 합성어

- 즐겨찾기를 할 경우 즐겨찾기 목록 좌측의 아이콘을 등록할 때 쓰임/

- 한글로 "파비콘"이라고 칭함

- 즐겨찾기를 수행할 때, Default로 찾는 파일임(소스상에서 다른 지정을 안할 경우)

 

Web Server를 운용하다 보면.. errorlog에 아래와 같은 로그가 남기는 것을 볼 수 있다.

favicon은 즐겨찾기 등록시에 옆에 보이는 아이콘이다.

소스상에서 따로 코딩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해당 Docroot의 Root디렉토리에서 찾는다.

아래의 경우,   /home/monitor/webapps 경로는 물리적 소스 경로이다.

 

사실상, 별로 중요치 않은 로그이기 때문에 안 쌓이게 하는 것이 좋다.

=========================================================

errorlog 내용..

[Sun Oct 03 13:50:43 2010] [error] [client xxx.xxx.xxx.191] File does not exist: /home/monitor/webapps/favicon.ico

[Sun Oct 03 13:50:44 2010] [error] [client xxx.xxx.xxx.191] File does not exist: /home/monitor/webapps/favicon.ico

[Sun Oct 03 13:50:44 2010] [error] [client xxx.xxx.xxx.191] File does not exist: /home/monitor/webapps/favicon.ico

[Sun Oct 03 13:50:44 2010] [error] [client xxx.xxx.xxx.191] File does not exist: /home/monitor/webapps/favicon.ico

[Sun Oct 03 13:50:45 2010] [error] [client xxx.xxx.xxx.191] File does not exist: /home/monitor/webapps/favicon.ico

=========================================================

 

2. 설정 (httpd.conf)

  1) error.log에서 나오지 않게 하기

    

Redirect 404 /favicon.ico

<Location /favicon.ico>

   ErrorDocument 404 "No favicon"

</Location>

    

  2) access.log에서 나오지 않게 하기

  - 위와 같은 설정만 하면 errorlog에는 출력되지 않으나, accesslog상에서는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

  =========================================================

xxx.xxx.xxx.191 - - [05/Oct/2010:10:02:44 +0900] "GET /favicon.ico HTTP/1.1" 404 51

xxx.xxx.xxx.191 - - [05/Oct/2010:10:02:44 +0900] "GET /favicon.ico HTTP/1.1" 404 51

xxx.xxx.xxx.191 - - [05/Oct/2010:10:02:54 +0900] "GET /favicon.ico HTTP/1.1" 404 51

xxx.xxx.xxx.191 - - [05/Oct/2010:10:02:55 +0900] "GET /favicon.ico HTTP/1.1" 404 51

  =========================================================

    

  - 이를 출력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httpd.conf의 accesslog설정부분을 수정해야 한다.

  =========================================================

    SetEnvIf Request_URI "favicon.ico" do_not_log

    CustomLog logs/access.log common env=!do_not_log

    #CustomLog "|/home/monitor/apache/bin/rotatelogs /home/monitor/apache/logs/access_log_%Y%m%d 50M" common env=!do_not_log

  =========================================================

 

출처 : http://mcpaint.tistory.com/149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Infra > 🟦WEB &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버전 노출  (0) 2020.08.11
Apache LogFormat 정리  (0) 2020.04.23
[Apache] Apache server-status 로 모니터링 하기  (0) 2020.04.23
Tomcat 원격 코드 취약점 | CVE-2020-1938 Ghostcat  (0) 2020.04.09
PHP 메모리 부족 (PHP Fatal Error: Allowed memory size of)  (0) 2020.03.23
    '👨🏻‍💻Infra/🟦WEB &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pache LogFormat 정리
    • [Apache] Apache server-status 로 모니터링 하기
    • Tomcat 원격 코드 취약점 | CVE-2020-1938 Ghostcat
    • PHP 메모리 부족 (PHP Fatal Error: Allowed memory size of)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IT 기술 블로그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