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Virtualization

VMware Network 연결 안되는 증상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2020. 4. 15. 17:59
반응형

사용 중인 VM을 복사 후 Network 연결이 되지 않았다.

IP 변경 후 네트워크 재시작을 하여도 동일 증상이 발생하였다.

VMware에서는 리눅스(Redhat 계열) 복제 후 동작시키면 네트워크가 되지 않는다

 

 

다른 이유로는 네트워크 카드를 교체하거나 위치가 바뀐경우다

예를들어 네트워크 카드를 교체하거나 위치가 바뀌어 eth0 -> 1로 변경, eth1 -> 2로 변경 되어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문제다

원인은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파일에 저장된 NIC 이름과 MAC 주소가 엉켜서 생기는 문제다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 재시작시 서버에 할당된 MAC 정보를 읽어들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

 

 

본론으로 넘어가 VMware VM 복제 시 Network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는 크게 2가지 다.

1) 서버 이전으로 인한 MAC 주소가 초기화가 되지 않아 문제가 생겨서 그렇다.

첫 번째 문제 해결하면 두 번째 문제가 생긴다.

2) MAC 주소를 바꿔줘도 VM 장치 MAC 주소와 현재 설정된 MAC 주소가 달라서 발생한다.

 

 

첫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VM을 종료하고 아래와 같이 Generate를 눌러 MAC 주소를 변경한다

Generate 누르기 전 MAC 주소를 확인하면 MAC 주소가 초기화가 되지 않고 복사한 VM과 MAC 주소가 같다는 걸 알 수 있다.

 

 

MAC 주소를 변경 후 service network restart를 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이것이 두 번째 문제며, 다음과 같이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한다.

Bringing up interface eth0: Device eth0 does not seem to be present, delaying initialization [FAILED]

/var/log/messages

Apr 16 02:09:04 HA1 /etc/sysconfig/network-scripts/ifup-eth: Device eth0 does not seem to be present, delaying initialization.

 

 

변경한 MAC 주소를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파일에 넣어준다 

물론 eth1 이면 eth1에 넣고 eth2면 eth2에 넣어야 한다.

 

 

Tip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위 파일은 열어보면 상단 주석에 적혀있는 것처럼 삭제하고 재부팅하면 새로 파일이 생긴다

하지만 그냥 바꿔주도록 하자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MAC 주소를 대문자로 넣을 것)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MAC 주소를 소문자로 넣을 것)

 

 

다음과 같이 작업을 완료하였다면 reboot 후 재확인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