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Cloud

[Cloud] AWS EC2 생성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2020. 4. 10. 16:39
반응형

왼쪽 상단에  [서비스] 메뉴를 클릭하여 EC2 를 선택한다 

 

 

왼쪽 사이드메뉴에 인스턴스 클릭 후 인스턴스 시작 을 클릭한다.

 

 

설치할 OS와 환경이 설치된 이미지를 선택한다 Amazon Linux를 선택한다 (CentOS 기반이며 AWS에 더 맞게 튜닝 된 OS) 

 

 

마이크로 인스턴스 : 처음에 주는 t2.micro와 같은 낮지만 적당히 테스트는 해볼 수 있을 만한 서버를 프리티어로 공짜 제공한다.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을 것이므로 기본값으로 하고 [다음: 스토리지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을 것이므로 기본값으로 하고 [다음: 태그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생성할 EC2 인스턴스에 태그를 지정한다. 값은 exercise-instance 로 입력 후 [다음: 보안 그룹 구성] 을 클릭한다.

 

 

인스턴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보안 그룹 구성화면이다. 그룹 생성 후 검토 및 시작 을 누른다.

 

지금까지 설정한 값들을 검토 할수 있는 화면이다. 검토 후 [시작하기] 버튼을 누른다

 

 

[새 키 페어 생성] 을 클릭 후 생성할 키 페어의 이름을 넣는다. 그 후 [키 페어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 키 페어를 저장해둔다.  그 후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른 후 다음화면으로 넘어가 오른쪽 하단에 [인스턴스 보기] 를 클릭한다.

 

 

생성 완료된 모습을 볼수 있다.

 

 

퍼블릭DNS, IP 와 프라이빗DNS, IP 로 접근이 가능하다.

 

 

AWS는 사용량 만큼 비용을 내야하므로 EC2 인스턴스가 켜져있는 시간에 대해 요금을 내야한다.

 

잠시 사용하지 않는경우 꺼두는것을 추천하며, 인스턴스를 끄는 방법은 인스턴스 대상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클릭 한뒤 [인스턴스 상태] -> [중지] 를 선택한다.

 

여기서 [종료]는 "terminate" 로서 인스턴스를 완전히 삭제하는 것이다.

 

종료 시 복구 방법이 없으니 더는 사용하지 않는경우에만 [종료] 를 클릭한다.

 

pending : 생성 중

running : 실행 중

stopped : 잠시 중시된 상태

terminated : 삭제(종료)된 상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