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Home (100)
    • 👨🏻‍💻Infra (73)
      • 🌐Network (4)
      • 🐧Linux (27)
      • 🌎Cloud (9)
      • ⚫️Virtualization (2)
      • 🐳Docker & Kubernetes (1)
      • 🟦WEB & WAS (18)
      • 🟩IaC (0)
      • 🟨CI & CD (0)
      • ⚙️Application (6)
      • 💻Monitoring (2)
      • 📡HA (4)
    • 👨🏻‍💻Development (3)
      • 💻Frontend (2)
      • 💾Backend (0)
      • 🐍Bash (1)
    • 💾Data (16)
      • 🧩Database (13)
      • 📁Storage (3)
    • 🎓BBS (5)
    • 👨‍👧‍👧Git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보안
  • Tomcat 취약점
  • Redmine
  • pacemaker
  • 레드마인
  • tomcat
  • RHCS
  • 톰캣 버전 노출
  • 다음 카카오 주소API
  • nginx
  • 레드마인 테마
  • CentOS6 PostgreSQL
  • 취약점
  • CentOS8 PostgreSQL
  • GFS2
  • 방화벽
  • CentOS7 PostgreSQL
  • 카카오 주소API
  • 다음 주소API
  • 톰캣
  • 톰캣 HTTP 헤더
  • Tomcat 버전 노출
  • log4j 취약점
  • 라이믹스
  • xe
  • Tomcat HTTP 헤더
  • 제로보드
  • WAF
  • 웹방화벽
  • pcs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M.2 SATA  와 M.2 Nvme 차이점
💾Data/📁Storage

M.2 SATA 와 M.2 Nvme 차이점

2019. 2. 25. 18:44
반응형

M.2 SSD 란?


M.2방식의 SSD는 메인보드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케이블을 따로 연결 할 필요 없어 설치하기에 편하고 또한 공간활용에 좋다.

여기서 말하는 M.2방식은 단자의 규격(폼팩터) 를 뜻한다.


더 자세히 알아보면..


CPU와 저장장치 간에 데이터가 오고가는 여러가지 통로가 있는데,

이를 "인터페이스" 라고 부르며 SSD는 흔히 PCI-Express와 SATA 통로를 이용한다.

M.2폼팩터도 이 2가지의 방식이 존재한다. (여기서 말하는 M.2방식은 단자의 규격(폼팩터)를 말하는 것 이다.)

이 2가지 방식에 속도차이에 있어, SSD의 성능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PCIe3.0버전의 PCI-Express 통로 4개를 사용하는 PCIe 3.0 x4 인터페이스 의 M.2 SSD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속도 비교 : SATA3 = 600Mbps / PCIe 3.0 x4 = 32Gbps (약 5배 ↑)


제품 비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듯이 인터페이스에 따라 읽기/쓰기 속도가 차이가 나는것을 확인 할수 있고,

또한 인터페이스가 다른걸 확인 할수 있다.


SATA1 = 150MB/s

SATA2 = 300MB/s

SATA3 = 600MB/s


PCIe 1.0 = 250MB/s   (2.5GT/s)

PCIe 2.0 = 500MB/s   (5GT/s)

PCIe 3.0 = 800MB/s   (8GT/s)

PCIe 4.0 = 1600MB/s (16GT/s) (2019년경 등장 예상)

PCIe 5.0 = 3200MB/s (32GT/s) (2019년 2분기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중)


※ PCIe는 길이(배속) 가/이 길수록 속도가 배수로 올라간다. (또한 PCIe는 버전,배속 둘다 하위호환을 지원함)

예) PCIe 1.0 x4  = 250MB/s x 4 = 1000MB/s 

     PCIe 2.0 x8  = 500MB/s x 8 = 4000MB/s

그래픽카드에 사용하는 16배속은 무려 속도가 12800MB/s 이다.


1배속 확장카드를 16배속에 설치해도 정상작동한다




단자의 모양으로도 구분 할수 있다.

B키 - PCIe 2.0 x2 제품               / M키 - PCIe 3.0 x4 제품            / B&M키 - SATA 제품


그러면 NVMe는 무엇인가? 
PCI-Express3.0 지원 SSD의 경우 SSD에 최적화된 
NVMe (NonVolatile Memory Express)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기존 HDD를 위한 AHCI 프로토콜 보다 효율이 좋다. 
(프로토콜 = 기기간 통신을 위해 정해놓은 규약(약속) 이다)



출처: https://blog.naver.com/enuriblog/221146857899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Data > 📁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 r rw 차이  (0) 2019.02.28
(펌) IDE, SATA, SCSI, SAS, SSD란?  (0) 2019.02.12
    '💾Data/📁Stor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d r rw 차이
    • (펌) IDE, SATA, SCSI, SAS, SSD란?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공개하기부끄러운블로그
    IT 기술 블로그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