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blog.naver.com/vkxld133/220886588116
팀뷰어의 경우 원격을 한 만큼 팀뷰어의 임시폴더에 로그가 남아
팀뷰어를 다시 실행시켜도 원격한 아이디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라이센스 만료를 판단 해서 차단하는 로직(알고리즘)은
원격한 아이디의 로그가 얼만큼인지를 판별하여 팀뷰어를 사용하고 있는 자신의 아이피에 대해
1차적으로 상업적 의심을 띄우게 되며 여기서 일정 수준을 넘을 경우 2차적으로 라이센스 만료로 넘어가서
아이피를 차단 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밑에있는 방법은 팀뷰어를 완전히 지운 후 맥주소를 변경해 아이피를 변경하여
처음 설치했을때의 모습으로 돌리는 과정입니다.
-----------해결방법 구분선 -------------
첨부파일에 있는 geek를 이용해 팀뷰어를 제거합니다.
흔적이 나온 것들을 지워주세요
그런다음에 첨부파일에 있는 MAC Address Changer 를 다운받고 실행시켜주세요
자신이 쓰고있는 네트워크 어뎁터를 고른 후
맥 어드레스에 나온 값을 기억해두세요 (네트워크가 안될 수 있습니다)
맥주소 뒤에 자리 하나만 바꿔줍니다.
0~9에서부터 A~F 사이에 하나를 골라 적어주시면됩니다
저는 1D이니 19나 1F 등등으로 바꿨습니다.
그런 후에 Change MAC ID를 누릅니다.
성공적으로 어뎁터의 맥어드레스가 바꼈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확인을 누른 후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나 보시고 연결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기존의 맥주소 뒷자리로 변경해주신 후에 다른 숫자나 알파벳으로 변경하여 진행 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런 후에 팀뷰어를 다시 설치해주시면 라이센스 만료가 뜨지 않고 원상태로 됩니다.
-----------해결방법 구분선 -------------
라이센스 만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라이센스 만료는은 처음에 설명 해 드렸다 싶이
얼만큼 사용했는가를 판단하여 차단한다고 했었는데요.
그럼 사용로그를 지우면 되겠죠?
첨부파일에 있는 팀뷰어 로그삭제&실행.bat를 다운 받아서 사용할 때 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시면 됩니다.
소스는 간단해서 제가 직접 짰습니다.
소스의 방식은 팀뷰어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로그를 지운 후
팀뷰어 서비스를 실행시킨 뒤 팀뷰어의 위치로 가서 팀뷰어를 실행시킵니다.
소스내용
sc stop "TeamViewer"
del /a/s/q "%appdata%\teamviewer\*.*"
del /a/s/q "%ProgramFiles(X86)%\Teamviewer\*.log"
sc start "TeamViewer"
cd %ProgramFiles(X86)%\Teamviewer
teamviewer.exe
cd %ProgramFiles%\Teamviewer
teamviewer.exe
PAUSE>Nul
[출처] 팀뷰어 라이센스 만료 해결방법과 방지방법|작성자 봉사하는냐옹이